*일러두기: 각 아이돌 그룹의 로고는 형태가 더 잘 보이도록 임의로 백색 바탕에 흑백 형태로 가공했습니다. 흑백으로 가공할 경우 형태가 보이지 않는 로고만 색을 살렸습니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나는 아이돌, 요즘은 K-POP이라고 대체되어 불리는 일종의 문화현상을 좋아한다. 내 휴대폰에 깔린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재생목록 대부분은 아이돌이 부르는 대중가요다. 비트가 빠르고 비장한 노래를 출근길에 재생시키면 만원 전철이 활주로로 바뀐 듯한 기적이 일어난다. 이 지하철이 나를 더 큰 세계로 데려다줄 것만 같다. 물론 그 끝에는 사무실이 기다리고 있지만…

청소년 시절로 대변되는, 덜 성숙한 여자 아이들이 열광적이고 무분별하게 좋아하는 분야로 여겨졌던 이 장르는 시간이 흘러 이천 년대 중후반에 들어서며 세간의 평가가 바뀐듯싶다. 동방신기와 빅뱅은 그야말로 센세이션이었고 2PM과 샤이니는 20대 ‘누나’들의 로망이었다. H.O.T.와 젝스키스를 좋아하던 그 ‘여자 아이들’이 자라고 나이를 먹어 구매력을 가지게 되며 그 시장규모도 성장한 거다. 2010년대를 지나 이 장르는 더욱 덩치가 커지고 심지어 글로벌해진다. 덕분에 나도 누군가 ‘무슨 노래 들어요.’ 묻는다면 ‘음… 박효신, 아이유, 그리고… NCT 127이요’1)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는 된 거다.

K-POP, 그러니까 코리안-팝이라고 퉁쳐 부르지만 사실 이 장르의 내부는 더 세밀하고 세심하다. K-POP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아이돌 그룹은 그 어마어마한 그룹의 숫자 만큼 컨셉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사람을 모아놓고 그들을 묶어 상품으로 만들고 거기에 컨셉을 부여할 때 수반되는 디자인적 과제는 아마도 브랜딩이다. 전방위적으로 잘 다듬어내 이 과열된 시장에서 눈에 띄도록 해야한다.

그래서 현재, 그러니까 2020년, 아이돌 그룹은 각자의 이름을 건 브랜드가 있다. 브랜드에 수반되는 네이밍과 로고타입도 존재한다. 아이돌 그룹이 많아야 세 개쯤 공존하던 시절에는 이들의 브랜딩이 아주 중요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한 해에 데뷔하는 아이돌만 백 개가 넘는 시점에는 이게 그들이 구사하는 음악만큼 중요해졌다. 수가 많아지자 경향성도 생겼다. 케이팝 열풍이 사그라지기는 당분간 어려울 것 같은 지금 브랜딩, 그 중에서도 로고를 정리해보려 한다.

이름을 강조하기 - EXO, BLACKPINK, (여자)아이들

기업의 로고가 그러하듯 아이돌도 이름을 가장 기본적인 소스로 사용해 로고를 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름을 로고 타입의 토대로 삼는 경우 타이포를 기본으로 인상적인 형태를 만들게 된다.

아이돌 브랜딩의 태초를 따지자면 H.O.T.로 거슬러 올라가야겠지만 이건 마치 동굴벽화까지 가져와 디자인의 시초를 따져보겠다는 얘기 같다. 현재의 ‘아이돌 브랜딩’을 누가 시작했냐고 묻는다면 나는 컨셉이라는 단어를 ‘세계관’으로 바꿔버린 그룹인 EXO라고 하겠다.

SM 엔터테인먼트의 EXO는 ‘외계행성에서 온 초능력을 가진 외계인들이 모인 그룹’이 큰 컨셉이다.

그리고 여기에 적합한 로고를 가지고 데뷔한다. 민희진 아트디렉터와 정고운, 김기연 디자이너의 작품이다.

https://ifworlddesignguide.com/entry/129426-exo

https://ifworlddesignguide.com/entry/129426-exo

육각형의 형태는 그 당시 한 유닛 그룹당 여섯 명 씩인 멤버 수와 외계 행성이라는 컨셉에서 착안했다. 그러나 그보다 즉각적으로 눈에 띄는 것은 로고 속에 들어간 EXO라는 글자와 특이한 타이포다. 어릴 적 본 외계인이 등장하는 영화에서 그들이 꼭 이런 글자를 썼던 것만 같다. 이 모든 시각적 요소가 그룹 EXO의 컨셉을 직접 알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