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스한 햇볕이 내리쬐고 있는 병실에서 병문안 오신 엄마의 지인분들을 위해 아침부터 분주하게 사과 다섯개를 연이어 깎고 있었다. 평생 엄마의 뒷바라지만 받다 이렇게 많은 과일을 연속으로 깎아본 것도 처음이었다. 접시 위에 가득 모든 사과가 뽀얀 살을 드러냈을 때, 과도가 익숙지 않은 나의 손가락에는 옅게 칼에 베인 자국이 여러 개 남았다. 이 짧은 병간호를 하며, 나는 베인 상처보다 마음이 더 아팠다. 당시 손가락의 상처는 하루 만에 아물었지만, 마음엔 영원한 생채기가 났다. 엄마의 악성종양이 잘 제거된 후였다. 그렇게도 바라던 엄마의 회복인데, 왜 내 마음은 아직도 쓰라릴까? 그 의문이 계기가 되어 창업을 결심하게 되었다.
결심한 후에도 한동안 행동으로 옮기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병간호를 통해 ‘삶’의 소중함을 알았지만, 차츰 그 기억을 잊고, 매달 급여가 나오는 ‘직장생활’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안정된 직장생활에서도 불쑥 ‘언제까지 이렇게 야근하며 살 수 있을까?’라는 생각과 함께 언제든 가족이 아프게 된다면 간병인으로 소환될 내 삶이 정말 불안했다. 그러던 중 조직개편의 이슈를 만나게 되었고, 그 상황으로 인해 외면하던 창업 결심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었다. 다시 그 햇살 좋은 병실의 엄마와 내가 떠올랐다. 앞으로 다가올 돌봄의 무게로 인해 “무기력하게 살지 말자”라고 이야기하듯 생채기 났던 손가락을 보며, 적극적으로 대처할 방법을 찾아가 보기로 했다.
가족 병간호로 백수가 되었던 것처럼, 퇴사로 인해 회사 타이틀과 직급이 없어진 아무개가 되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창업이라는 꿈을 실행하는 아무개가 되었다는 점이다. 바깥은 고요한데 마음속은 거센 바람이 불어 돼지도 날아갈 듯한 그런 기운이 가득했다. 이 기세라면 불가능할 게 없어 보였다. 그래 까짓것 해보자.
“아유 우리 애는 회사를 그만두고 놀고 있으니 애가 생겼어.”
“엄마! 나 일하고 있거든!”
엄마는 창업 초기 2년 동안 나를 보며 매번 논다고 했다. 외부미팅이 있지 않은 한, 집에서 사업을 구상하고 사업계획서로 방향과 가설을 정리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그러니 엄마의 눈엔 내가 놀아도 아주 편하게 놀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그 어느 때보다 일에 대한 태도를 바꾸기 위한 체질 개선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디자이너로서 눈에 보이는 작업을 하는 것이 제일 잘해왔던 일인데, 어떤 걸 눈에 보이게 할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니 멋지게 만드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시기였다. 순진하고 멍청한 현실 모르는 질문일지라도, 무엇을 만들어야 할지부터 고민했고, 왜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마음속 답과 동기는 스스로 글을 쓰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내가 가장 가치를 두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어떤 형태의 삶을 원하는가.
나는 어떤 사람이 되길 바라는가.
실패하더라도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쏟을 그런 가치 있는 일인가.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선택은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