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를 돌보기 위해 일까지 그만둬야 한다고?’
코로나19로 어수선한 어느 날, 한 기사를 보고 적잖게 놀랐다. 바로 ‘돌봄노동’에 관한 이야기로, 코로나19로 인해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의 개학이 연기되면서 일을 그만두고 전업 가사 활동 중인 여성이 전년 대비 20여만 명 증가했다는 내용의 기사였다. 나에게 ‘일’이란 자아실현의 수단으로 경제적으로는 자유로움을, 사회적으로는 주체성을 인정받는 의식과 같은 것인데, 누군가를 돌보기 위해 일을 그만둔다니 상상하기 어려웠다. 꽤 오랫동안 시간을 유연하게 운용하는 프리랜서 생활을 해왔고, 주변에 나와 생활을 함께하는 어린이나 청소년이 없기 때문에 기사에서 말하는 돌봄노동의 강도도 쉬이 짐작이 가지 않았다. 그러다 문득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렇게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건 내가 돌봄노동에 대한 책무를 지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은 아닐까하고.
그 기사를 읽은 당시에 나는 개인 작업으로 코로나19로 발생한 사회적 소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고 있었다. 돌봄노동에 관한 기사도 그중에 발견한 것으로 아무래도 여성의 시선으로 자료를 살펴보다 보니 가장 눈에 많이 띄던 것이 여성의 노동에 관한 주제들이었다. FDSC.txt 2021년 상반기 주제인 ‘생산’을 보고 어떤 글을 쓸지 몇 날을 고민하던 차에 현재 다수의 여성이 겪고 있는 돌봄노동에 관한 문제들에서 ‘재생산노동’이라는 키워드를 떠올렸다. ‘그래, 생산을 담당하는 쪽이 아닌 그 뒤편에 있는 이야기를 해볼 수 있겠다’. 생산노동의 뒤편에 존재하는 이야기, 바로 돌봄노동에 대한 이야기를 말이다.
우리가 사는 세계에는 두 가지 노동이 존재한다. 하나는 생산노동이고 나머지 하나는 그 뒤편에 존재하는 재생산노동이다. 생산노동이란 인간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각종 재화를 만들어 물질적 부를 창출하는 일을 뜻한다. 보편적으로는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금전적 가치를 지닌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을 말하며 이 글을 읽고 있는 많은 이들이 생산을 위한 용역을 수행하고 임금으로 보상받는 생산노동 종사자일 것이다. 우리가 사는 세계에는 이 생산노동 외에 필수적인 다른 노동이 하나 존재한다. 바로 재생산노동이다. 재생산노동은 임금 노동 외의 모든 노동 행위를 말한다. 가령 출근을 하기 전 아침 식사를 위해 요리하는 일, 퇴근 후 집에 와서 내일 출근시 입을 옷을 챙기는 일, 휴식을 취하기 위해 청소를 하는 일 등 생산노동을 위해 필요한 재충전 활동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돌봄노동은 재생산노동 중에서도 환자나 노인, 어린이와 같이 자립하기 위해 다른 이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하는 노동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의미를 확장해서 우리 생활에 대입해 생각해 본다면 돌봄노동은 부모, 자녀를 포함해 친구, 애인, 이웃, 반려동물의 삶을 위해 수행하는 일이자, 타인의 생활을 생산하는 노동이라고도 볼 수 있다. 유한한 신체를 가진 인간이라면 누구나 다른 누군가에게 돌봄을 받거나 돌봄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본격적으로 불거진 가정 내 돌봄노동 문제를 재택근무나 아동돌봄지원사업 등의 제도를 확대하는 방법으로 해결하려 하지만 아직도 많은 경우가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 분담과 같이 개인적인 권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군다나 누군가를 돌보는 일에 여성이 더욱 적합하다는 인식이 여전한 상황에서 돌봄에 대한 여성들의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수많은 기사와 통계 자료가 코로나19로 인한 돌봄노동 부담이 여성에게 더 많은 휴가를 사용케 했고, 나아가 노동시장 이탈까지 촉진시켰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수집한 자료를 정리하면서 마음속 한구석에서 복잡한 안도감과 불안감이 피어올랐다. ‘Double Income, No Kids’가 신조인 2인 가구 구성원으로서, 아직은 경제생활을 하시는 엄마와 신체 건강한 가족을 둔 딸로서, 육아, 간병, 가사 노동으로부터 자유로운 내 환경이 일종의 특권처럼 느껴졌다. 만약 아픈 가족이 있어 내가 곁에서 간호해야 한다면, 함께 생활하는 어린이가 있어 등원과 하원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면, 내 주체적인 삶을 가능케하는 생산노동을 지금처럼 자유로이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서울의 엄마들』은 이런 나의 복잡한 심경을 위로하듯 다가왔다. 이 책은 서로 다른 삶에 놓인 시민이자 여성이자 엄마인 열 명의 사적 서사를 담은 책이다. 에세이와 인터뷰 그리고 사진을 통해 누군가를 ‘돌봄’하거나 혹은 누군가로부터 ‘돌봄’을 받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경험할 ‘돌봄’의 행위와 가치를 이야기한다. 열 명의 엄마들은 20대부터 60대까지 연령도 다양하고, 가족의 형태나 사는 곳, 하는 일도 모두 가지각색이다. 전업주부로 가사 활동을 하기도 하고 생산노동 종사자로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도 있어 돌봄에 대한 무게와 가치를 다양하게 제시하며 2020년 팬데믹의 시간 속에 우리는 ‘어떤 돌봄의 시간을 지나고 있는지’ 질문한다.
‘사람은 돌봄의 순환 고리에 적을 둔 존재라는 이 분명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를 간혹 잊거나 가볍게 여기기도 하고, 때론 그 고리의 늪에 깊이 빠져 돌봄이 지우는 무게에 숨이 턱 막히기도 한다. 당신은 어떤 돌봄의 시간을 지나고 있는가.’
열 명의 엄마들은 각자 처해있는 상황에서 어떤 돌봄의 시간을 지나고 있는지 응답한다. 어떤 이는 사랑으로, 어떤 이는 의무감이나 책임감으로 수행하는 돌봄노동에 얽힌 다채로운 이야기에서 기쁨과 감사함, 때로는 걱정과 불안함을 내비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