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은 일을 하고 산다는 것

졸업 후 직장인이 되면서 삶의 구조가 바뀌었다. 일주일 중 5일을, 야근까지 포함해서 하루에 10~12시간씩 타인과 한 공간에서 일하는 환경이 낯설게 느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꿈이 있어서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것은 행운이라고 생각했다. 디자인을 잘하고 싶어서 노력하는 것은 본능적인 행위였다. 하고 싶은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무리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노력하다 보니 때때로 좋은 결과가 찾아오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이 주는 성취감은 나를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게 해줬다.

돈 받은 만큼 일하고 끝내면 참 좋을 텐데, 이상하게 내 디자인이 내 자아처럼 느껴지곤 했다. 그러다 보니 어느샌가 무리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작업물이 안 좋은 피드백을 들으면 내가 안 좋은 소리를 듣는 것 같았다. 크리틱은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한 과정일 뿐인데, 냉혹한 평가만 오갈 때도 많았다. ‘솔직하게 말해서’라는 말은 객관적인 평가처럼 보이는 마법의 단어로 사람 마음을 후벼 파는 평가 앞에 붙곤 했다.

디자인은 작업물을 완성해서 대중 앞에 내놓아야 하는 일이다. 무수히 많은 고민 끝에 간결하게 나온 작업물 앞에서 누군가는 '이 정도는 나도 하겠다'라는 말을 스스럼없이 한다. 그만큼 전문성을 온전히 인정받기 힘들다. 보는 사람의 느낌과 취향만으로 결과물을 평가하듯 말하고, 심지어 그것이 유효한 피드백이 될 때도 있다. 그럴 때마다 스스로 ‘디자인을 계속해도 될까? 나는 좋은 디자이너가 될 수 없는 거 아닐까?’라는 질문을 했다.

Die for design

이런 디자이너의 마음을 이용하듯 업계에서는 때때로 말도 안 될 정도의 몰입 상태로 일하길 강요하고 있다. 디자인 에이전시나 스튜디오에서 전설처럼 내려오는 과로 이야기는 업계에 뛰어들기도 전에 겁먹게 만든다. 새벽 4시까지 시안 작업을 하고, 주말 출근을 5주 연속하지만 대체 휴일을 받지 못하는 업계의 분위기는 개인에게 디자인을 위해 죽을 듯이 일하라고 한다.

어떤 디자이너는 상사에게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업무 태도를 지적받으며 “디자인을 위해 죽을 수 있어?!”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디자인 업계에는 두 가지 집단밖에 없는 건가. 일을 위해 당장이라도 죽을 기세인 사람들과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 그 중간 지점은 정녕 없는 건가. 그 속에서 나는 오랫동안 어느 집단에도 속하지 못하고 부유했다. 과로사할 정도로 일하고 싶지 않지만, 내가 맡은 일은 잘하고 싶었다.

업무 태도와 디자인에 대한 안 좋은 평가가 쏟아지며 어느 순간부터 온전한 정신으로 살아가기 힘들었다. 심각한 수준으로 자책을 하게 되었는데, 어느 순간 내가 모자란 게 아니라 그들과 맞지 않는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순간 비로소 자기혐오를 멈출 수 있었다. 내가 처한 환경을 깨닫는 것만으로도 위로받고 안개가 걷히는 느낌이 들었다.

다행인 점은 그때 나 자신을 방치하고 싶지 않았다. 어떻게든 불행의 틀을 깨부수고 나오고 싶었다. 최근엔 정신적으로 매우 힘들 경우 상담받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좋은 현상이지만 나는 정신과 상담을 받을 정도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했다. 상담에 대한 문턱이 낮아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인이라면 다들 이 정도는 힘들지 않을까. 그래서 다른 선택지를 찾아보고자 했다.

마음도 운동이 필요해 (왈이의 마음단련장)

문득 인스타그램을 하다 지인이 명상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게 눈에 들어왔다. 명상이라면 내 마음에 폭포처럼 쏟아지는 부정적인 생각을 멈출 수 있게 도와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오프라인 초심자 반을 등록했다. 왈이의 마음단련장은 초록색 대문을 하고 있었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따뜻한 카페트에 연녹색의 벽이 나를 반겨줬다.

<aside> 💡 ‘왈이의 마음단련장’은 ‘명상'에서 획 하나 뺀 즐거운 ‘멍상'을 제안한다. 밀레니얼 세대의 문법에 맞게 ‘멍상'이라는 마음 운동으로 우리 마음이 아프기 전에 튼튼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instagram.com/wal.8am

</aside>

‘숨, 감각, 연민’이라는 제목의 네 달짜리 멍상 코스를 진행하며 처음으로 내 마음을 자세히 들여다보며 위로해줄 수 있었다. 나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했지만, 멍상을 통해 ‘아는 것'과 ‘잘 대해주는 것'은 다르다는 걸 새롭게 알았다. 그중에서도 ‘연민 명상’이 기억에 남는다. 연민 명상의 주제는 내 마음속에 살고 있는 심판자를 만나서 이야기하고 나를 연민하기였다. 심판자는 내 마음속에서 내 행동을 계속해서 평가하는 존재를 뜻한다.

나의 태도 중 바꾸고 싶은 것 중에 게으름이 있었다. 예를 들면 매일 방 정리를 안 하고 미룬다거나, 휴일에 자기 계발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움직이지 않았다. 그러면 내 마음속에 살고 있는 심판자는 나에게 ‘한심하다’고 얘기했다. 심판자는 때론 나를 집어삼켰고, 일기에 종종 ‘오늘 아무것도 안 했다. 난 쓰레기야. 언제까지 이렇게 살래?’라는 말을 적었다. 하지만 게으르게 아무것도 안 하면서 내가 느낀 감정은 ‘쉬고 있다, 아무 생각 안 할 수 있다'와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었다. 너무 바빴기 때문에 게을러질 수밖에 없었던 거고, 잠시 쉬면 오히려 편했다.

그동안 나는 이런 심판자의 관점으로 스스로를 끊임없이 채찍질하며 치열하게 지내왔다. 그러다가 번아웃이 오고, 다시 게을러지고, 다시 치열하게 지내는 상황을 반복해왔다. 그렇다면 내 안의 심판자는 왜 ‘한심하다'고 했을까? 심판자는 내가 더 잘되었으면 좋겠기에 그런 말을 한 것이다. 만약 내 안의 심판자가 무조건적으로 나에게 다정한 사람이라면 어떻게 말했을까. ‘괜찮아, 그 정도면 됐어. 나아가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할 수 있는 만큼만 해’와 같이 말했을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