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여름 나는 커리어의 전환점을 향해 달리는 경주마였다.
‘꼭 해내야겠다’는 목표가 있었고 기대감에 가슴이 두근거렸다. 커리어 전환을 위해 이직이 필요했다. 채용 과정을 하나씩 밟으면서 더욱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이라고 확신했다. 하지만 결과는 바람대로 되지 않았다.
가족에게 탈락 소식을 알렸다. 엄마로부터 ‘그동안 노력한 자신을 칭찬해주고 푹 쉬렴.’이라고 메시지가 왔다. 친한 친구들도 모두 고생했다고 좀 쉬라며 위로했다. 눈물이 찔끔 남과 동시에 '어떻게 쉬어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쉰다'라.. 나를 위한 호캉스? 주말 내내 책이나 읽을까? 하지만 금세 그만한 용기가 없다는 걸 깨달았다. 쉬라는 말은 왠지 어렵고 부담스러웠다. 달리던 말의 눈가리개를 떼고 나니 어디로 가야 할지 혼란스럽기만 했다.
다 멈추고 쉬는 건 너무 불안했지만 내면에 일어난 불안의 파동은 어떻게든 잠재워야 했다.
노트북을 열고 너덜너덜해진 마음을 보듬어줄 방법들을 하나씩 적어갔다. 나는 읽고 싶었던 책을 한가득 지고 카페에 가는 대신, 당근을 물려주듯 나에게 새로운 목표를 쥐여 주는 것을 선택했다. 그래서 어떻게 다음으로 나아가야 할지 '액션 플랜'을 세우는 게 역시나 마음이 편한 쪽이었다.
노션 앱에 쉬는 동안 하고 싶은 것들을 적었다.
가장 먼저 세운 계획은 심리 상담이었다. 집에서 멀지 않은 곳으로 바로 예약할 수 있었다. 아직 상담을 받은 것도 아닌데 신청한 것만으로 성취감이 들었다.
몇 회에 걸친 상담에서 선생님은 내가 과거에 역경을 이겨냈던 경험을 복기할 수 있는 질문을 던져주셨다. 그때 감정이 어땠는지, 그때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했는지 하나씩 짚어나갔다. 이 과정을 통해 나에겐 여전히 극복할 힘이 있다는 걸 상기할 수 있었다. 항상 미래의 더 나은 내 모습을 기대하는 편인데, 과거의 나에게도 배운다니 신기했다.
쉼에 대해서도 얘기했다. "왜 저는 쉬는 게 안되죠? 멈추는 건 불안해요" 사실 이 상담도 가만히 있을 수 없어서 신청했다는 내 말에 선생님은 아이러니하게도 그 의지가 나의 힘이라고, 목표 지향적인 20대는 전혀 이상하지 않다고 하셨다. 그 말이 참 위로가 됐다. 얘기를 나누다 보니 쉬는 게 불안한 나를 답답해하거나 이상하게 여길 필요는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담에서 가장 놀랐던 건 내가 실패한 후의 넥스트 스텝을 생각해내는 데 몰두하느라 정작 실패에서 오는 감정은 무시해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었다. 실패를 어떻게든 이겨내려는 의지는 좋다. 하지만 현재 감정을 덮어 놓은 채로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한다면 멀리 갈 수 없다.마지막 상담이 끝나고 집에 가는 길에 『내 마음을 읽는 시간』이라는 심리학책을 샀다. 책에 ‘마음 챙김’이란 개념이 나오는데, 보자마자 내게 필요한 훈련이구나 싶었다.
책에서 말하는 마음 챙김은 ‘내가 느끼는 감정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과정’이다. 마음 챙김을 할 수 있어야 부정적인 감정에 오랫동안 사로잡히지 않을 수 있다.
감정을 인식하는 게 마음 챙김의 첫 단계이다. 그리고 감정 인식을 위해선 감정에 이름을 붙일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슬픔'이라는 감정에도 섭섭함, 우울함, 서러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중 내가 느끼는 게 무엇인지 명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책을 읽으며 커리어 도전의 실패에서 느꼈던 부정적인 감정을 구체화해봤다. 주눅 듦, 속상함과 더불어 ‘배신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구나, 나는 배신감을 느꼈구나. 회사가 날 뽑아준다고 약속했던 것도 아닌데 왜 배신감을 느꼈을까?
배신의 조건은 믿음이다. 나는 나의 노력을 철석같이 믿었다. 그래서 실패했을 때 내가 나를 배신한 기분이 들었던 것이다.